티스토리 뷰
우리나라는 명절이 돌아올 때마다, 아직도 많은 가정에서는 조상들을 기리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제사를 치르는 것은 우리나라의 많은 가정에서 전승되어 오는 풍습 중 하나로, 그 방식이나 절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사를 간소화하거나 전혀 치르지 않는 집안도 일부 존재하며, 이에 따라 명절 때 제사상을 어떻게 차리는지에 대해 궁금증이 생기곤 합니다. 이런 이유로 오늘은 제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며, 제사상을 차리는 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제사상을 차리는 방법
제사상을 차리는 방식은 가정마다, 또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5열로 제사상을 준비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병풍을 마주 보고 있는 상태에서 서쪽과 동쪽으로 나누어 음식을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먼저 첫 번째 열에는 밥과 국과 같은 식사류를 배치하며, 설날에는 떡국, 추석에는 토란국을 올리는 것이 전통적인 특징입니다. 두 번째 열에는 주요 요리인 전과 적을 배치해야 합니다. 이때, '어동육서'에 따라 서쪽부터 차례로 육적, 소적, 어적, 어전을 올려주어야 하는데,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등은 위로 향하도록 놓아야 합니다.
세 번째 열에는 탕류를 배치하되, 이 역시 '어동육서'에 따라 차례로 육탕, 속탕, 어탕을 놓아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네 번째 열에는 밑반찬류를 배치하는데, 이때 왼쪽에 생선전과 식혜를, 오른쪽에는 호두를 배치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이를 '좌포우혜'라고 부르며, 익힌 나물을 서쪽에, 생김치를 동쪽에 놓는 것을 '숙서생동'이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섯번 째 열에는 후식에 해당하는 과일과 간식을 배치하는데요, 이때 대추, 밤, 배, 곶감, 사과, 한과 등을 많이 올리며, '홍동백서'에 따라 붉은 과일은 오른쪽, 흰색 과일은 왼쪽에 배치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제사상 차릴 때 유의 사항
- 제사상을 차릴 때는 떡국은 오른쪽에 배치해 두고, 술잔은 왼쪽, 숟가락, 젓가락은 중앙에 놓아야 합니다.
- 제사랑에 과일이나 음식을 올릴 때는 양을 상징하는 홀수로 올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귀신을 쫓는다고 알려진 복숭아나 꽁치, 삼치, 칼치, 고추, 마늘 등은 상에 올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상에 올리는 술로는 청주를 사용하지만, 고인이 생전에 좋아했던 막걸리나 소주를 올려도 상관없습니다.
제사상차림의 의미와 마음가짐
최근에는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면서 피자나 치킨, 햄버거 등을 올리는 '현대식 차례'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음식들을 간소화하여 진행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처럼 제사상을 차리는 방식이 복잡하거나 번거로워 보일 수도 있지만, 우리의 전통문화를 이어가는 데 큰 의미가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어떤 음식을 얼마나 준비하느냐보다는 고인을 생각하며 정성스레 음식을 준비하는 마음입니다. 이렇게 마음을 담아 준비한 제사상은 조상들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는 행위로써, 우리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제사상을 준비하는 과정은 가족들이 모여 함께 음식을 만들고, 서로 소통하며 가족 간의 유대를 더욱 강화하는 기회가 됩니다. 이런 점에서 제사상 차리는 방법을 알아보고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제사를 치르기 위한 절차를 배우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우리 문화의 이해와 전승에 크게 기여하게 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제사상 차리는 방법과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렇게 제사상을 준비하고 제사를 치르는 것은 우리 문화의 한 축을 이루는 중요한 행위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고인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고, 우리의 전통문화를 이어가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요한 행위를 계속해서 전승해 나가는 것이 우리 모두의 역할이며, 이를 통해 우리 문화가 계속해서 이어져 나가길 바라는 바입니다.
'나만 모르는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칩, 생명이 잠에서 깨어나는 봄의 선율 (0) | 2024.02.13 |
---|---|
보안 위험 자동 차단, 삼성폰에 15년 만에 생긴 이 기능, 설정 방법 (0) | 2024.01.25 |
정월대보름, 첫 보름달이 뜨는 날, 유래와 풍습, 음식 (0) | 2024.01.10 |
발렌타인데이, 연인들이 서로의 마음을 전하는 날 (0) | 2024.01.09 |
새해를 맞이하여 보내기 좋은 인사말 작성 방법 및 모음 (0) | 2024.01.08 |